• American Chamber of Commerce in Korea
  • Your Partner in Business Since 1953
close
close

Login

home> >

[News Article] Korean Air partners with CEVA Logistics for sustainable fuel use in cargo transportat…

Korean Air partners with CEVA Logistics for sustainable fuel use in cargo transportation  By Park Jae-hyuk, The Korea Times - Korean Air recently signed a partnership agreement with France’s CEVA Logistics to use sustainable aviation fuel (SAF) for its cargo transportation business, the air carrier said Thursday. SAF is an alternative fuel made from non-petroleum feedstocks that reduce emissions in the air transportation industry. The signing ceremony took place at Air Cargo China Conference 2024 in Shanghai, June 26. Eum Jae-dong, senior vice president and head of cargo business at Korean Air, and Olivier Boccara, air & ocean division leader at CEVA’s Asia-Pacific operation, participated in the ceremony along with senior executives of both companies. Under the agreement, CEVA will support Korean Air’s usage of SAF in its air cargo operations. The Korean airline will share the result of its reduction in carbon emissions with the French logistics firm. Both companies also plan to promote their usage of SAF and raise awareness about reducing carbon emissions in the logistics sector. “We are pleased with the strong support from businesses and cargo customers for our SAF program,” Eum said. “We will continue to build partnerships that enable our customers to actively and directly contribute to decarbonization efforts.” Boccara emphasized that one of CEVA’s key short-term levers to promote decarbonization hinges on collaboration. “Through developing new solutions for our customers with airline partners like Korean Air, we are able to contribute to meaningful change in our industry,” the French firm’s executive said. “Extending our SAF offering into the Asian market is a tangible step we can take now as we look ahead to more advances in fuels and other technologies to decarbonize air freight and the global supply chain.” Since September 2023, Korean Air has run a Customer-participation SAF program to engage industry partners in supporting sustainable practices. The air carrier signed partnerships with Korea’s LX Pantos last November and Japan’s Yusen Logistics in January this year for the usage of SAF in its air cargo operations. In February 2022, Korean Air became the first Korean flag carrier to use SAF, with its implementation on its scheduled Paris-Seoul Incheon route. The airline also signed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with Shell in September 2022 to purchase SAF at major airports in Asia-Pacific and the Middle East from 2026 to 2031. Source: https://www.koreatimes.co.kr/www/tech/2024/07/419_378016.html 

2024.07.05

[News Article] 美 퀄컴, 스냅드래곤 알린다…영국프로축구팀 맨유 후원

美 퀄컴, 스냅드래곤 알린다…영국프로축구팀 맨유 후원   연합뉴스 김태종 특파원 - 미국 반도체 기업 퀄컴이 소비자들에게 자체 개발한 칩 브랜드인 '스냅드래곤'의 인지도 높이기에 나섰다. 퀄컴은 1일(현지시간) 잉글랜드 프로축구 프리미어리그(EPL)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 스폰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전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축구 클럽 중 하나인 맨유 유니폼 상의에는 퀄컴의 칩 브랜드인 '스냅드래곤'이 새겨지게 된다. 이번 계약은 기본 3년에 추가 2년을 옵션으로 하며, 구체적인 금액은 알려지지 않았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번 파트너십으로 퀄컴이 맨유에 연간 7천600만 달러(1천51억원) 이상을 지급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현재 스폰서인 독일 소프트웨어 회사 팀뷰어가 지불하는 금액보다 30%가량 늘어난 수치다. 퀄컴은 또 맨유 홈구장인 올드 트래퍼드의 와이파이 서비스를 개선하고, 맨유 팬들이 앞으로 증강 현실로 축구장을 '방문'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퀄컴의 이런 마케팅은 최근 PC 시장으로 확대하고 있는 칩 브랜드 '스냅드래곤'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퀄컴은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에 들어가는 칩 강자로, 스냅드래곤은 2006년 11월 처음 발표됐지만 소비자들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AI PC' 시대를 맞아 퀄컴은 모바일을 넘어 인텔이 장악하고 있는 PC 시장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퀄컴은 지난달 마이크로소프트(MS)와 삼성전자의 노트북 '서피스 랩톱'과 '갤럭시북4 엣지'에 각각 최신 프로세서 '스냅드래곤 X 엘리트'를 탑재했다. 또 에이서, 에이수스, 델, HP 등 PC 제조업체들도 퀄컴의 스냅드래곤X 엘리트를 탑재한 AI PC를 오는 하반기 내놓을 예정이다. 인텔이 1990년대 '인텔 인사이드'라는 마케팅을 통해 전 세계 PC 중앙처리장치(CPU) 시장의 80%를 장악하게 된 기반을 마련한 것처럼 퀄컴도 소비자가 아닌 기업들을 상대하는 B2B 기업이지만, 소비자들에게 스냅드래곤을 인식시켜 시장 확대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돈 맥과이어 퀄컴 최고마케팅경영자(CMO)는 "퀄컴의 맨유 후원은 스냅드래곤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며 "이는 PC 등에서 회사 입지를 구축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출처: https://www.yna.co.kr/view/AKR20240702003900091?input=1195m 

2024.07.05

[News Article] '통합 이마트' 출범… 공동 매입·물류 통해 수익성 개선 박차

'통합 이마트' 출범… 공동 매입·물류 통해 수익성 개선 박차 조선비즈 김은영 기자 - 할인점 이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SSM) 이마트에브리데이가 더해진 ‘통합 이마트’ 법인이 1일 출범했다.  이마트는 이날 자회사인 SSM 이마트에브리데이와의 합병 종료를 보고하는 이사회를 열고, 합병 절차를 완료했다고 공시했다.  이마트가 이마트에브리데이를 흡수 합병하는 방식이다. 합병기일은 6월 30일, 합병 종료 보고와 등기 신청일은 이날이다. 합병을 통해 이마트는 상품 매입과 물류 관리를 통합해 가격을 낮추고, 상품 경쟁력을 강화해 시너지를 창출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수익성을 개선하고, 개선된 수익을 사업에 재투자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합병은 지난해 9월 한채양 이마트 대표가 이마트에브리데이와 편의점 이마트24 대표를 겸임한 뒤부터 예견돼 온 것이다. 업태가 유사한 할인점(이마트)과 SSM(이마트에브리데이)의 법인을 먼저 통합했다. 한 대표는 지난 3월 주주총회에서 “이마트·이마트에브리데이·이마트24 오프라인 3사의 매입·물류·마케팅 기능을 통합해 업의 본질을 회복하고, 오프라인 3사의 매입 역량을 공동 활용해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마트와 이마트에브리데이는 올해 들어 필수 상품을 초저가로 파는 ‘가격역주행 프로젝트’를 통해 기획상품을 일부 함께 판매하는 통합 마케팅을 펼쳐왔다. 이달부터는 이마트에브리데이 70여 개 점포에 이마트 후레쉬센터와 미트센터의 신선 상품을 공급한다. 이마트를 방문하지 않아도 집 근처 이마트에브리데이에서 구매할 수 있는 기획상품을 늘려 고객들의 쇼핑 편의성을 향상한다는 방침이다.  해당 점포는 연내 140여 개 점포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회사 측은 합병 후 통합 매입을 위한 조직 및 인프라 정비를 마친 내년부터 본격적인 ‘통합 이마트’의 시너지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마트에브리데이는 현재 전국에 260여 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조4074억원, 188억원이었다. 이에 따라 통합 이마트(별도 기준)의 매출은 약 10% 커지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마트 관계자는 “불필요한 비용과 절차를 줄여 본업 경쟁력을 강화해 궁극적으로 고객 혜택 증대와 편익 향상을 꾀할 방침”이라며 “협력 업체들 역시 통합 이마트와 함께 경쟁력 있는 새로운 상품을 개발해 공급량을 확대하고, 판로 다변화를 통해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했다.  이마트는 편의점 이마트24와도 통합 마케팅과 노브랜드 기반의 신규 가맹모델 출점 등의 협력을 시도한다. 회사에 따르면 노브랜드 사업 모델을 채택한 이마트24 점포는 50여 일 만에 100호점을 넘어섰다.  이마트 관계자는 “합병 시너지를 통해 본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계획”이라며 “고객들이 실질적으로 느낄 수 있는 혜택을 확대하고 협력 업체와 함께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전사적 노력을 기울일 방침”이라고 했다.  출처: https://biz.chosun.com/distribution/channel/2024/07/01/ELB4XL5RZ5DNBCHPFVF74NWL2Q/

2024.07.05

[News Article] Renault Korea aims to make Busan a production hub

Renault Korea aims to make Busan a production hub   By Park Je-wan and Yoon Yeon-hae, Pulse - Renault Korea Motors Co. plans to make its Busan plant a production hub for D and E segment vehicles and pursue an aggressive export strategy, according to its Chief Executive Officer Stephane Deblaise. Renault Group is a European-based automaker with strengths in the B and C segments, ranging from small sports utility vehicles (SUVs) to mid-size sedans.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has a high demand for mid-size SUVs, such as the Sorento and Santa Fe, leading to Renault Korea having well-established production facilities for these vehicles. From Renault Group‘s perspective, a plant with advanced mid-size vehicle production technology is needed to diversify its global market offerings, and Deblaise believes the Busan plant fulfills this role perfectly. “The Busan plant is among the top three production plants under Renault Group,” he said during an interview on the sidelines of the 12th Busan Mobility Show held at BEXCO in Busan on Saturday, expressing his strong commitment to expanding the export of models produced at the Busan plant to global markets. “You will see a lot of our new strategic premium SUV, Grand Koleos, produced at the Busan plant in markets of other countries,” he added. Deblaise emphasized that Grand Koleos SUV, which was unveiled on the same day, has superior marketability compared to its competitors. “Using Renault’s hybrid system ‘E-Tech,’ it has about 10 percent better fuel efficiency than competitors,” he explained. “The three displays provided in the driver and passenger seats are a clear differentiating point compared to other models.“ ”This vehicle was fully designed for Korean customers,“ he added, noting the significant attention the company paid to sound absorption and noise reduction features, which are important to Korean customers. Renault Korea also plans to launch the coupe-style internal combustion engine SUV ‘Aurora 2’ in 2026 and the electric SUV ‘Aurora 3’ in 2027. Source: https://pulse.mk.co.kr/news/english/11055168 

2024.07.05

[News Article] LG Energy signs multi-billion-dollar LFP battery deal with Renault

LG Energy signs multi-billion-dollar LFP battery deal with Renault   By Hyung-Kyu Kim, The Korea Economic Daily - LG Energy Solution Ltd., the world’s second-largest battery maker, has clinched a multi-billion-dollar deal to supply LFP batteries for low-end electric vehicles to Renault Group’s EV unit Ampere. The South Korean battery maker said on Tuesday the two sides signed the deal at Renault’s headquarters in Paris on Monday, attended by executives, including Suh Won-joon, executive vice president and head of the advanced automotive battery division at LG, and Josep Maria Recasens, Renault Group’s chief strategy officer and Ampere’s chief operating officer. Under the five-year contract, LG will provide LFP, or lithium ion phosphate, batteries to Ampere from late 2025 through 2030, with a total capacity of some 39 GWh, enough to produce 590,000 battery EVs. The batteries, to be manufactured at LG Energy’s Poland facility, will power Ampere's next-generation EV models. The deal’s value wasn’t known, but industry watchers said it would be trillions of won, or multi-billion dollars. “We will provide the best customer value to Ampere through our overwhelming technological prowess and quality,” said LG Energy’s Suh. François Provost, Renault’s chief procurement, partnership and public affairs officer said: “We worked hand in hand with LG to set up an integrated value chain in Europe. Our long-term relationships have enabled us to build this unique solution in terms of technology and competitiveness.” KOREA’S FIRST MEGA-DEAL BEATING LFP SUPER POWER CHINA LG said the latest deal represents its and Korea’s first large-scale LFP battery supply deal in Europe, one of the world’s fastest-growing EV markets. Korea’s three major battery makers – LG Energy, SK On Co. and Samsung SDI Co. – have concentrated on expensive nickel-cobalt-manganese (NCM) cells. However, they are now shifting gears to produce low-end LFP cells on growing demand from Tesla Inc. and other major EV makers. LFP batteries are mostly made by Chinese companies, including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td. (CATL), the world’s top battery maker, and BYD Co. LFP cells are lower in energy density but cheaper to make compared to other types such as NCM batteries, and thus more suitable for low-end EV models. LFP batteries are also more stable, meaning less vulnerable to fire. LG Energy has switched part of its energy story system (ESS) production lines at its plant in Nanjing, China to produce LFP batteries with a plan to begin mass production in 2025. CELL-TO-PACK SOLUTIONS LG said it is providing Renault’s pure EV player Ampere with pouch-type LFP batteries made with cutting-edge cell-to-pack (CTP) manufacturing technology. CTP refers to a technology that bypasses the module stage to make cells into a pack structure. Compared with the general battery structure, the module-free structure reduces weight and manufacturing costs and increases space utilization, according to LG. LG said it is the industry’s first to apply the technology to pouch-type batteries. CTP-applied pouch-type batteries boast about 5% higher energy density per weight compared with prismatic CTP tech batteries. LG said it has also enhanced battery safety by increasing the toughness of the battery pack and applying heat transfer prevention technology. LG’S EXPANDED BATTERY PORTFOLIO With the latest supply deal, LG has expanded its product portfolio in pouch-type batteries encompassing various chemistries such as high-nickel NCMA, high-voltage mid-nickel NCM and LFP. LG said a wide range of products will allow it to serve various consumer needs from premium EVs to more affordable entry-level segment vehicles. “Through this partnership with Ampere, our unrivaled product competitiveness and differentiated customer value have been recognized once again,” said LG Energy Chief Executive Kim Dong-myung. The CEO, also known in the West by his English name David Kim, said: “Starting with the European market, we will keep expanding our supply of automotive LFP batteries.” LG is also an active battery player in the US, where it operates its own battery plants and a joint venture, Ultium Cells LLC, with General Motors. Source: https://www.kedglobal.com/batteries/newsView/ked202407020005 

2024.07.02

[News Article] 맥도날드, 시각장애인 위한 키오스크 기능 직영 매장 100% 도입

맥도날드, 시각장애인 위한 키오스크 기능 직영 매장 100% 도입   뉴시스 구예지 기자 - 한국맥도날드가 시각장애인을 위한 키오스크 음성 안내 장치를 전국 직영 매장에 100% 도입 완료했다고 2일 밝혔다. 한국맥도날드는 시각장애인 고객에게 편리한 매장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지난해 9월 미국맥도날드에 이어 전 세계에서 2번째, 아시아에서는 최초로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안내 장치를 도입했다. 이는 국내 QSR(Quick Service Restaurant) 업계에서도 최초의 사례로 시각장애인의 접근성을 크게 높이며 모두가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더했다. 맥도날드는 지난해 키오스크 음성 안내 기능의 도입을 시작한 이후 지속적으로 적용 매장을 확대해 6월 말 전 직영 매장에 도입을 완료했다. 시각장애인 고객들은 전국 직영 매장 어느 곳에서나 음성 안내를 통해 제품 정보를 파악하고 원하는 메뉴를 자유롭게 주문할 수 있게 됐다. 해당 기능 도입으로 키오스크 하단에 개인 이어폰을 연결한 뒤 터치패드로 기기를 조작하면 화면의 모든 구성 요소에 대해 음성으로 안내받을 수 있어 시각장애인이 스스로 메뉴를 주문할 수 있게 됐다. 기본적인 메뉴명과 가격 뿐 만 아니라 칼로리 등 세부 사항까지 제공된다.  맥도날드는 시각장애인 고객이 키오스크의 위치를 찾기까지 불편함이 없도록 전 직영 매장 바닥에 점자 블록을 부착했고 아울러 주문 시 테이블 번호를 입력하면 직원이 주문한 메뉴를 자리로 가져다주는 테이블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테이블 번호는 점자로도 표기돼 있으며 주문 과정에서 직원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장애인 도움호출벨'도 마련해 두는 등 매장 곳곳에 세심한 배려를 기울이고 있다. 맥도날드 관계자는 "시각장애로 키오스크 주문에 어려움을 겪었던 고객분들이 전국 직영 매장 어디서나 보다 편리해진 음성 안내 키오스크를 이용할 수 있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업계 선도 기업인 맥도날드의 도입을 계기로 더 많은 곳에서 장애인 고객들을 위한 서비스가 마련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출처: https://www.newsis.com/view/NISX20240702_0002794766

2024.07.02

[News Article] 어플라이드 “신재생 에너지로 美 전력소비량 100% 조달”

어플라이드 “신재생 에너지로 美 전력소비량 100% 조달”   조선비즈 황민규 기자 -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가 ‘2023 지속가능성 보고서’에서 지난해 미국 내 전력 소비량의 100%를 신재생 에너지원으로 조달하고, 전 세계 신재생 에너지 사용 비율을 70%로 끌어올렸다고 1일 밝혔다. 이날 어플라이드는 보고서를 통해 지난 한 해 어플라이드의 탄소 배출량 감축 노력과 반도체 업계 지속가능성 증진을 위한 고객과의 협업 성과를 발표했다. 사물인터넷(IoT)과 인공지능(AI) 확산으로 반도체 업계는 2020년대 말까지 두 배에 달하는 수익 창출 기회가 예상되지만 같은 기간 반도체 업계 탄소 발자국은 네 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어플라이드는 이 같은 불균형 해소를 위해 자사와 반도체 업계의 탄소 배출량 감축 공동 협력 방안인 ‘넷제로 2040 플레이북’을 개발했다. 어플라이드는 2023년에도 미국 내 전력 소비량의 100%를 신재생 에너지원으로 조달하고, 전 세계 신재생 에너지 사용 비율을 70%로 끌어올렸다. 미국 텍사스 오스틴 물류 서비스 센터에서는 텍사스 중부 최대 규모인 옥상 태양광 패널을 시운전했다. 예상 연간 전력 생산량은 820만kWh로 1100여 가구에 전력을 충분히 공급할 양이다. 어플라이드의 2030 스콥 1, 2, 3 탄소 배출 감축목표는 SBTi(과학 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 인증을 획득했다. 어플라이드는 주요 고객, 공급업체, 파트너와 긴밀히 협력해 반도체 산업의 탄소 배출을 줄이고 있다. 어플라이드는 반도체 업계 탈탄소화를 위한 범 세계적 노력의 하나로 출범한 ‘반도체 기후 컨소시엄’의 창립 회원이자 이사회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게리 디커슨(Gary Dickerson)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회장 겸 CEO는 “기술 발전으로 세상은 전례 없는 속도로 변화함에 따라 반도체 산업은 글로벌 반도체 생산량을 크게 늘리는 동시에 넷제로 달성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며 “이는 단일 기업이나 국가가 단독으로 해결할 수 없는 복잡한 과제다. 어플라이드는 혁신 솔루션을 개발하고 배포하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반도체 공급망 전반에 걸쳐 협업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출처: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4/07/01/7R3YEXRNOJEUBMCJKOEQ3JS4RA/ 

2024.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