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merican Chamber of Commerce in Korea
  • Your Partner in Business Since 1953
close
close

Login

home> >

[Special Meeting with BOK Board Member Suh Young Kyung] Korea's monetary policymaker downplays conce…

Korea's monetary policymaker downplays concerns over growing interest rate gap between Korea, US   By Park Jae-hyuk, The Korea Times - A member of the Bank of Korea (BOK) Monetary Policy Board advised U.S. businesspeople here not to worry about the widening policy rate gap between the two countries, asking them to increase investments in Asia's fourth largest economy. The monetary policymaker's advice hints that Korea's central bank may not raise its key rate further this year, even if the U.S. Federal Reserve carries out a couple of additional rate hikes.   During Tuesday's meeting with members of the American Chamber of Commerce in Korea (AMCHAM), Suh Young-kyung emphasized Korea's capability to endure the difference in interest rates, in response to concerns about the Fed's additional rate hikes this year to cool down the labor market and slow inflation.   "More than 60 percent of foreign investments in Korean bonds are long-term investments based on fundamental factors, so they are not sensitive to the rate difference," she said. "Overseas investments by Koreans go largely into stocks rather than bonds, so they are also less influenced by the rate difference." Suh added that the rate gap will not weaken the Korean won against the U.S. dollar, as investors do not expect inflation to be higher in Korea than in the U.S.   Although she declined to comment on the expectation that the BOK will freeze the key rate this month, she said that members of the Monetary Policy Board have already assessed the current interest rate as high enough. "We will maintain tightening measures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she said.   The former BOK deputy governor also talked about the central bank's plans to prevent any side effects caused by the government's plan to open up the foreign currency market.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has also recommended that emerging countries carry out policies to stabilize each of their foreign exchange markets, considering the necessity of their monetary policies being independent of the U.S.," Suh said. "In collaboration with the government, the BOK will continue its efforts to stabilize the foreign currency market."   From that standpoint, she asked foreign companies here to be more aggressive in their investments in Korea, especially advising them to cope with climate change and the fragmentation of the global supply chain.   In response to a question about when the chip industry will bottom out, Suh answered that the central bank expects the market to bounce back during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considering the semiconductor cycle.   "While there are uncertainties and challenges in the global economy this year, we remain optimistic that the Korean government, with its strong commitment to delivering economic reforms, will be able to navigate the economic landscape wisely," AMCHAM Chairman James Kim said.   Source: www.koreatimes.co.kr/www/tech/2023/02/129_344986.html 

2023.02.07

[Special Interview] "글로벌 성장·기후 변화 대응 위해서라도 튼튼한 한미동맹 꼭 필요"

"글로벌 성장·기후 변화 대응 위해서라도 튼튼한 한미동맹 꼭 필요" 제임스김 주한미국상공회의소 회장 한국일보 박관규 기자 - 2023년 한미동맹이 70년을 맞았다. 전후방 주한미군기지 현장 르포, 전술핵 재배치 찬반 대담, 전문가 인터뷰, 70년의 역사적 장면 등 다각적 조망을 통해 동맹의 의미와 가치를 되짚어본다. 제임스 김(60) 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암참) 회장은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아 한국일보와 가진 새해 인터뷰에서 두 나라의 앞날을 이처럼 예측했다. 국내에서 활약 중인 미국 기업을 대표해 800여 개 회원사를 둔 수장이 내린 진단이어서 어느 때보다 그의 발언이 눈길을 끈다. 김 회장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이슈가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흠집낼 수 없다"며 "미국의 첨단 기술과 한국의 제조 능력이 더해져 파트너십은 더 강력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한국은 아시아에서 제1의 비즈니스 허브가 될 조건을 충분히 갖췄다"며 잠재력을 높게 샀다.  -2023년은 한미 동맹 70주년이 되는 해이다.  "두 나라 관계는 그 어느 때보다 탄탄하다. 지난 70년 동안 해당 지역의 평화와 안보를 성공적으로 유지해왔다. 흔히 철통방어로 설명되는 한미 관계는 상업, 군사,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견고해졌다. 지난해 체결 10주년을 맞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도 경제협력 관계가 얼마나 튼튼한지를 잘 보여준다. 양국이 앞으로 그려 나갈 모습이 더욱 기대된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SK실트론 미 현지 공장을 찾는 등 한국 기업에 관심이 많다.  "미국의 첨단 기술과 한국의 강력한 제조 능력은 두 나라를 좀 더 가깝게 하는 원동력이다. 한국이 가진 반도체, 배터리 등 첨단 산업 핵심 역량을 바탕으로 상호 간 공급망 구축 및 기술·산업 파트너십 강화, 국제 협력 촉진 등이 이뤄질 수 있다. 또 바이오헬스, 클라우드 컴퓨팅, 사이버 보안, 그린에너지 등 4차 산업혁명 분야에서도 손잡을 가능성이 충분하다. 더 많은 무역과 투자를 기대할 수 있게 하는 요인이다."  "리쇼어링은 미국 만이 아닌 전 세계적 현상"  -그런데도 미국은 리쇼어링(Reshoring·해외로 나간 기업이 본국으로 다시 돌아오는 것) 정책에 이어 자국 내 첨단 산업을 중심으로 제조업을 육성하려 하고 있다. 한국 입장에선 달갑지 않은 변화다.  "리쇼어링은 미국만이 아닌 전 세계적 현상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에 따른 공급망 이슈와 경기 침체 때문에 자국 기업의 생산 시설을 다시 본국으로 불러들이는 것이다. 여기에 지정학적 변수가 더해지면서 이젠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를 위한 전략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런 흐름에 뒤처지지 않으려면 매력 있는 인센티브를 앞세워 경쟁력 있는 경영 환경을 만들고 성장 모멘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의 부족한 부분은 없는가.  "노동 정책 개선이 필요하고, 세제, 각종 규제 등 경영 환경을 탈바꿈해야 한다. 한국은 홍콩, 싱가포르, 대만, 일본 등 역내 경쟁국들과 비교해 인프라, 언론의 자유, 경제력, 비즈니스 용이성, 인적 경쟁력 등에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일부 정책만 개혁이 이뤄진다면 충분히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에 최고의 비즈니스 허브로 발돋움할 수 있다고 본다."  "IRA 궁극적으로 한국 경제에도 도움"  -미국의 자국 산업 보호 정책이 갖는 의미와 한미 양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달라.  "끝이 보이지 않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은 글로벌 공급망에 유례없는 변화를 주며 세계 경제 성장률을 가라앉게 했다. 이러한 지정학적 역학 관계의 변화와 전 세계적 이슈 해결을 위해서라도 한미 동맹과 경제적 동반자 관계는 더 깊어져야 한다. 두 나라 기업의 협력도 주요 산업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하다. 또 전 세계적 과제인 글로벌 성장과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해서도 마찬가지다."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은 세계무역기구(WTO)의 보조금 규정에 어긋나는 것 아닌가.  "IRA 논란은 미국 정치가 한국을 포함한 다른 동맹국과 관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잘 보여준다. 한국 경제에는 궁극적으로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한국 기업들이 부품 및 광물에 대한 IRA 조건을 채우기 위해 새로운 공급망을 만들어 가며 미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을 높여 간다면 새로운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  -미국은 중국을 견제한다며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까지 추진하고 있다.  "IPEF는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과 민주주의를 촉진함으로써 역내 무역 환경 및 생활 수준을 끌어올리기 위한 조치다. IPEF의 문은 열려 있기에, 중국 등 더 많은 국가들이 참여하기를 기대한다. 미중 관계의 가장 이상적 시나리오는 기후 변화와 같은 주요 이슈에 있어 계속 협력하는 것이다. 또 대만 관련 긴장을 완화하는 것도 최우선 과제 중 하나다."    -끝으로 한국 산업계에 전하고 싶은 말은.  "암참은 한미의 미래 경제 협력 및 무역 관계를 낙관적으로 보고 있다. 한국이 아시아 제1의 비즈니스 허브로 발돋움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며 한미 중소기업이 더 많은 사업을 할 수 있게 돕겠다. 미국 중소기업 중 30만 개가 해외에 나가 있지만 이 중 한국에는 2만 개만 진출해 있기 때문에 잠재력이 높다고 본다. 한국 정부와 긴밀히 협력하며 양국 간 경제 통상적 동반자 관계를 더욱 튼튼히 하겠다."  출처: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2122317390003112

2023.01.09

[Op-Ed] Alliance at 70: Opportunities ahead for US-Korea partnership

Alliance at 70: Opportunities ahead for US-Korea partnership     By James Kim, AMCHAM Chairman & CEO - The year 2023 marks the 70th anniversary of the U.S.-Korea Alliance, which has been a linchpin to defend the freedom, security, stability and prosperity in the region. The U.S. and Korea have shared a long history of cooperation based on mutual trust, shared values of democracy, common strategic interests and an enduring friendship. We have come a long way, not just in terms of the economic partnership but also in the steadfast military alliance and people-to-people exchang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economy over time, trade and investment have become critical aspects of the U.S.-Korea relationship. Arguably, the most important layer of the relationship is 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KORUS FTA), which has served a key role in promoting bilateral trade and investment for over ten years.   Now, with both countries facing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trade order and disruptions in the supply chain, the U.S. and Korea have recognized the need jointly to address challenges under the context of an economic security and technology alliance. In fact, cooperation between U.S. and Korean firms has been essential in the development of these industries, and the importance of strategic partnerships in key sectors is greater than ever.   More recently, under the leadership of U.S. President Joe Biden and President Yoon Suk-yeol, we have seen the U.S.-Korea relationship reaching new heights. At their first summit, last May, President Biden and President Yoon pledged their commitment to a "global comprehensive strategic alliance" that jointly contributes to peace, security and prosperity in the region and throughout the globe. It was inspiring to witness the incredible professional and 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leaders.   One element of these newly solidified ties is the Korean government's economic security agenda,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U.S. government's Indo-Pacific strategy, especially involving the 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 (IPEF). Korea has already expressed interest in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IPEF, which includes the four pillars of Trade, Supply Chain, Clean Energy and Anti-corruption & Tax. The U.S.-Korea partnership through the IPEF is essential to promoting regional peace and security as well as greater commercial opportunit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While the IPEF lacks the market access component of a traditional trade agreement, it presents a crucial opportunity for the U.S. and Korea to set global standards in strategic areas.   This stronger U.S.-Korea relationship also comes at a critical juncture amid rising geopolitical uncertainties in the region. The ever-changing geopolitical dynamics present risks but also opportunities for the U.S. and Korea. An example of this is the U.S. Inflation Reduction Act (IRA), which has created a greater need for clear and transparent dialogue between the two governments regarding the perceived problematic IRA regulations that may seem to discriminate against Korean companies, such as Korean-made electric vehicles (EVs).   I am confident that this cooperation will provide a win-win resolution and will not detract the focus away from the wider range of benefits the IRA offers for strategic collaboration. With shifting geopolitical dynamics regionally as well as globally, the U.S.-Korea alliance and economic partnership will only grow stronger and tackle these global issues effectively.   Korea has emerged as a top-ten economy and a global leader in many ways. Korea is now the U.S.'s sixth-largest trading partner and the U.S. is Korea's second-largest. Going forward, supply chain resiliency efforts, especially in innovative industries such as semiconductors, will bring the U.S. and Korea closer together given the U.S.' cutting-edge technology and Korea's robust manufacturing capability. U.S. companies are now showing more interest than ever in investing in Korea across all industries.   Given the enormous economic potential ahead of us, I believe Korea has a unique opportunity to position itself not just as an attractive business destination, but as a new regional business hub for Asia in the next few years. It is clear that the world is going through great uncertainty. Now is a key moment in shaping the future of Korea. I strongly believe that every challenge is an opportunity.   Korea has the potential to increase its economic dynamism and become more attractive to foreign investors by implementing changes that align its guidelines and processes with global standards. I appreciate that the Korean government ha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by executing on stakeholder input from the international business community. The American Chamber of Commerce in Korea (AMCHAM) fully supports President Yoon's vision for the U.S.-Korea alliance in tackling both global and domestic issues. I believe that U.S.-Korea relations will continue to evolve in the coming years.   AMCHAM is committed to deepening the enduring bilateral relationship to make Korea the best business destination for global companies in Asia and helping promote mor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from Korea and the U.S. to do more business abroad. AMCHAM is eager to work closely with the U.S. and Korean governments to deepen bilateral economic cooperation.   The continuation of the rock-solid alliance and our vibrant commercial partnerships will not only make our countries stronger together but also more prosperous. We have an amazing future for both countries and together we can overcome any challenges and convert them into opportunities. Here's to another 70 years ahead!   Source: www.koreatimes.co.kr/www/tech/2023/01/419_342390.html 

2023.01.02

[Healthcare Innovation Seminar 2022] AMCHAM hosts healthcare seminar as Korea's fears grow over Bide…

AMCHAM hosts healthcare seminar as Korea's fears grow over Biden's biotech initiative ​By Park Jae-hyuk, The Korea Times - The American Chamber of Commerce in Korea (AMCHAM) hosted the 13th AMCHAM Healthcare Innovation Seminar, Thursday, discussing ways for Korea to become a global healthcare innovation hub by taking advantage of its partnership with the U.S. "Today's seminar will explore how new technology is influencing healthcare, and how this changes Korea's path to becoming a healthcare innovation hub," AMCHAM Chairman James Kim said in his opening remarks. "Now is the perfect opportunity for Korea to take the global leadership position in integrating this into our healthcare with K-healthcare." The event was held amid lingering concerns among Korea's healthcare industry officials over U.S. President Joe Biden's executive order on the National Biotechnology and Biomanufacturing Initiative (NBBI) signed in September as part of efforts to protect American manufacturers. The executive order is intended to induce pharmaceutical firms to conduct R&D and production in the U.S. by providing benefits. Although it has been interpreted widely as an attempt to restrain the growth of China's biotech industry, Korean pharmaceutical firms have accelerated their efforts to build manufacturing plants in the U.S. and to acquire American biotech companies. During the seminar's congratulatory remarks, U.S. Ambassador to Korea Philip Goldberg mentioned the Biden administration's efforts to bolster the country's biotechnology. "I am excited about the direction of the U.S.-Korea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nd our global alliance," he said. "We can only be successful if governments, companies and individuals work together to achieve common goals." The U.S. envoy, however, did not address Korea's concerns over the NBBI. When Second Vic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Lee Do-hoon visited Washington, D.C., earlier this week, he expressed concerns about the NBBI to Under Secretary of State for Economic Growth, Energy, and the Environment Jose Fernandez, according to the foreign ministry. The ministry told reporters that Lee's U.S. counterpart said that the executive order is not intended to discriminate against foreign manufacturers or exclude foreign partners. "Fernandez said the U.S. government is drawing up plans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will collect opinions from the Korean government and industry officials on the executive order," a foreign ministry official said. Song Young-joo, senior adviser for the Korean law firm Bae, Kim & Lee, who delivered a plenary keynote presentation at the seminar, however, raised questions about the Korean government officials downplaying the NBBI's impact on Korea's biotech industry. "The biotechnology industry is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national security strategies, even coining the term, 'bio-politics,'" she said. "The U.S. is the leader in the biotechnology industry and trying to transform the industry's supply chain, so we should wait and see what the NBBI's potential impact will be." Source: https://koreatimes.co.kr/www/tech/2022/12/419_341794.html?da  

2022.12.16

[Meeting with National Assembly Speaker] 국회 찾은 암참 "법인세 내려야 外人 투자 늘어"

국회 찾은 암참 "법인세 내려야 外人 투자 늘어"  서울경제 진동영 기자 - 한국에서 사업하는 외국 기업 대표들이 국회에 계류 중인 법인세 인하 법안의 조속한 통과를 촉구했다. 한국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리더로 성장하고 투자 유치를 늘리려면 기업에 유리한 조세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14일 재계에 따르면 제임스 김 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암참) 회장과 박현남 주한독일상공회의소 회장은 12일 김진표 국회의장을 만나 이 같은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참석자들에 따르면 이들은 김 의장에게 “법인세가 인하되면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치에 좋은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며 국회에 계류된 법인세법 개정안 통과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회장은 서울경제와의 통화에서 “암참의 최우선 과제는 한국을 아시아에서 가장 좋은 사업 거점지로 만드는 것”이라며 “싱가포르·홍콩 등 기업에 유리한 조세정책을 갖고 있는 국가와 경쟁하려면 법인세 인하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사업가로서 법인세는 경쟁을 위한 중요한 기준점 중 하나”라면서 “법인세 인하로 많은 외국 기업들이 한국지사에 투자를 늘린다면 당연히 한국에도 더 많은 기회가 주어지지 않겠느냐”며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러면서 “법인세 등 일부 규제가 개선된다면 보다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한국을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영 거점으로 삼을 것”이라며 “글로벌 투자 환경 조성을 위한 제언”이라고 강조했다.   한국 내 외국 기업들이 법인세 법안 통과를 촉구하고 나선 것은 주요 경쟁국과 달리 한국이 법인세 인하를 주저하면서 기업 경쟁력 향상을 가로막고 있다고 판단한 결과다. 정부는 영업이익 3000억 원 초과 기업에 적용되는 법인세 최고세율을 25%에서 22%로 낮추는 법인세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지만 야당의 반대로 통과가 지연되고 있다. 거세지는 글로벌 경기 한파 속에 외국 기업들마저 경영난 해소를 위해 정치권에 호소하고 나선 것이다.   韓 법인세율 경쟁력 63개국 중 39위…"홍콩 등과 경쟁하려면 인하 필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008년 이후 OECD 38개국 중 24개국이 법인세를 인하한 가운데 한국 등 6개국만이 법인세를 올렸다. 한국의 법인세 최고세율(25%)은 OECD 평균 세율(21.2%)보다 3.8%포인트 더 높다. 기획재정부는 “단순하고 낮은 법인세가 세계적 추세”라며 법인세제 개편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지만 야당은 ‘대기업만 이득을 보는 부자 감세’라며 반대의 뜻을 꺾지 않고 있다.   미국 기업과 비교하면 국내에서 사업하는 기업들은 훨씬 불리한 입장에 놓여 있다.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미국은 2018년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법인세율을 21%로 낮추고 과표구간을 단일화하는 등 기업 중심의 개선이 이뤄졌다. 반면 한국은 같은 해 법인세율을 22%에서 25%로 인상하고 과표구간을 3개에서 4개로 늘렸다. 한국에만 있는 투자상생협력촉진세(세율 20%)도 추가 부담으로 작용했다. 그러다 보니 한국의 법인세 세율 경쟁력은 63개국 중 2017년 27위에서 2022년 39위로 12단계 하락했다. 새로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기는커녕 있던 외국 기업마저 경쟁국으로 빠져나갈 상황이라는 지적이다.   김 회장은 법인세법 개정뿐 아니라 외국인 대상의 소득세 특례를 개선해 외국인 투자를 늘릴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르면 외국인 근로자는 국내 근무 시작일부터 5년간 19%의 소득세 단일 세율을 적용받지만 이후에는 과세특례가 폐지돼 우수한 외국인 인재들의 유출을 초래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그는 “이런 이유로 외국인 임원들은 5년간 한국에서 일한 뒤 더 낮은 세금을 내는 홍콩이나 싱가포르로 떠난다”며 “한국을 아시아의 경제 허브로 만들려면 경험이 많은 외국인 임원들을 계속 끌어들여야 한다. 이런 부분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2022년 세제개편안을 통해 외국인에 대한 소득세 과세특례 적용 기간을 폐지하는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지만 이 역시 야당의 반대에 막혀 계류 중이다.   김 회장과 박 회장은 이 밖에 김 의장에게 고용·노동정책 유연성 개선, 중대재해처벌법 등 최고경영자(CEO) 처벌 리스크 완화, 규제 신설·개정 시 사전 의견 청취 기회 보장 등에 대해서도 검토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암참 관계자는 “국회에 계류된 각종 조세 관련 개혁안들의 통과가 한국 내 외국 기업들에 중요하다는 의견을 전달했다”며 “한국은 홍콩·싱가포르·대만·일본 등과 비교해 세제, 고용·노동정책 등 규제 측면에서 경쟁력이 낮은 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출처: www.sedaily.com/NewsView/26EWEZOQ4K 

2022.12.16

[Meeting with National Assembly Speaker] Assembly speaker voices concerns over US inflation reductio…

Assembly speaker voices concerns over US inflation reduction act to biz lobbiesSEOUL, Dec. 12 (Yonhap) - National Assembly Speaker Kim Jin-pyo expressed concerns over the U.S. Inflation Reduction Act (IRA) that is feared to hurt South Korean automakers during his meeting with the leaders of the U.S. and German business lobbies here Monday.   During the meeting with James Kim, Chairman & CEO of the American Chamber of Commerce in Korea (AMCHAM), and Park Hyun-nam, Chair of the Korean-German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Kim stressed the need for an "exceptional clause" for countries that have entered a free trade agreement with the U.S. in implementing the IRA.   The IRA, signed into law by U.S. President Joe Biden in August, gives up to US$7,500 in tax credits to buyers of electric vehicles assembled only in North America, sparking concerns that Hyundai Motor and Kia Corp. could lose ground the U.S. market. The two South Korean carmakers assemble their EVs at domestic plants for export to the U.S.   "Large-scale investments that were made as a promise to U.S. President Biden during the South Korea-U.S. summit may be delayed should shares of Hyundai Motor and major Korean firms tumble due to them not receiving tax credits," Kim said. "A clause that acknowledges exceptions for countries that have entered a free trade agreement with the U.S. is necessary," he added.   The speaker also thanked them for contributing to expanding trade and investment between Korea and the two countries, and requested they act as bridges for economic cooperation.   In turn, AMCHAM Chairman Kim noted there is growing demand by foreign companies to establish regional hubs in South Korea amid China's zero-tolerance policy on COVID-19 and political issues in Hong Kong, calling it a time of opportunity.   Park agreed with Kim and offered advice that South Korea should make the most of this opportunity, which would likely bring not only regional hubs but financial institutions, and arts and culture sectors to the country as well. (Yonhap)   Source: www.koreatimes.co.kr/www/tech/2022/12/419_341598.html 

2022.12.13

[Special Meeting with Gyeonggi Governor] 김동연 지사 "기업하기 좋은 경기도…청년에게 기회 달라"

김동연 지사 "기업하기 좋은 경기도…청년에게 기회 달라" 뉴시스 박상욱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북미·유럽지역 주한상공회의소 대표들을 직접 만나 투자하기 좋은 경기도의 이점을 적극 피력하고 경기도 청년들에게 많은 기회를 달라고 당부했다.  김동연 지사는 2일 수원 팔달구 도담소에서 북미·유럽지역 주한상공회의소 대표들과 소통간담회 '도담소통'을 열어 "경기도는 장기적인 안목에서 경제의 역동성을 살리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최근 조직개편안 가운데 미래성장산업국을 신설했다. 미래 먹거리라 할 수 있는 산업들을 개별과로 만들어 원스톱으로 일을 처리할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경기도 청년들을 위해 기회를 많이 만들어주셨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참석자들에게 앞으로 정례적인 만남을 제안했으며, 참석자들도 경기도에 대한 투자와 협력을 적극 고려하겠다고 화답했다.  권오형 주한미국상공회의소 이사회 부회장은 "경기도가 국내 반도체의 70%를 차지하고 있어 반도체 기업과 미국 입장에서는 경기도와의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앞으로 경기도 경제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현남 한독상공회의소 회장은 "2023년은 한·독 수교 140주년을 맞는 만큼 다양한 분야에서 경제협력이 더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  다비드 피에르 잘리콩(David-Pierre JALICON) 한불상공회의소 회장도 "다음 주에 프랑스 잠재 투자 기업들을 대상으로 경기도를 설명하는 기회가 있는데 경기도 홍보를 잘 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크리스토프 하이더(Christoph Heider) 주한유럽상공회의소 총장은 "디지털경제 그리고 지속가능성 관련해서 경기도와도 앞으로 협력하고 싶다. 제안하실 부분이 있으시면 기대하겠다"고 강조했다.  프란체스코 푸시(Francesco Fussi) 주한이탈리아상공회의소 회장은 "한국이 기술 선도국가로 알려질 기회가 앞으로 더 있을 것 같고 앞으로 교류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헤이키 란따(Heikki Ranta) 주한핀란드상공회의소 회장은 "핀란드 기업들이 미래성장 관련된 연구개발(R&D)을 많이 하고 있어 협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 같다"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경기도는 해외 투자유치를 위한 선제적 조치로 이 같은 '도담소통'을 정례화하고 내년 상반기에는 아시아 지역 상공회의소와도 만남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권오형 주한미국상공회의소 이사회 부회장, 박현남 한독상공회의소 회장, 다비드 피에르 잘리콩(David-Pierre JALICON) 한불상공회의소 회장, 로버트 랭(Robert Laing) 주한캐나다상공회의소 이사회 회장, 크리스토프 하이더(Christoph Heider) 주한유럽상공회의소 총장, 오은정(Grace Oh) 주한스웨덴상공회의소 회장, 프란체스코 푸시(Francesco Fussi) 주한이탈리아상공회의소 회장, 헤이키 란따(Heikki Ranta) 주한핀란드상공회의소 회장 등이 참석했다.  출처: https://newsis.com/view/?id=NISX20221202_0002109929&cID=14001&pID=14000​

2022.12.05

[The JoongAng - CSIS Forum 2022] "중국발 '경제 의존성 무기화'에 대비해야"

[중앙일보-CSIS 포럼] "중국발 '경제 의존성 무기화'에 대비해야" 중앙일보 정진우 기자 - 경제안보를 중심에 둔 미·중 공급망 경쟁은 한국에게 기회인 동시에 리스크를 내포한 복합 과제로 평가된다. 한국은 대중(對中) 견제용으로 평가되는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의 원년 멤버로 참여하며 한·미 관계를 전략적 포괄 동맹으로 격상하는 추동력을 확보했다. 하지만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은 현대자동차 등 국내 기업에 대한 보조금 차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주제네바 대사를 역임한 최석영 법무법인 광장 고문은 1일 중앙일보-CSIS 포럼에서 현 상황을 “강대국에 의해 일방주의와 보호주의, 여러 산업 정책이 나타나며 경제안보 위협이 부상하는 상황”으로 진단했다. 이어 “다자 무역 체제가 마비된 상태에서 지역별 경제 블록화가 이뤄지고 있고, 이를 바탕으로 미·중 양국은 굉장히 긴 경쟁관계에 돌입했다”며 “(한국의 IPEF 참여 이후) 중국 또는 특정 국가가 경제 의존성을 무기화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하 ‘경제안보와 중국 문제’를 주제로 열린 3세션 참석자들의 주요 발언.  박태호 서울대 국제대학원 명예교수·광장 국제통상연구원 원장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하며 중국이 특정 분야에 대해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에 대해 ‘불공정 거래’라고 비판했다. 보조금으로 인해 과잉 생산이 이뤄지고, 이 때문에 세계시장이 왜곡된다는 의미였다. 하지만 지금은 미국이 자국 우선주의 정책을 펼치고 있고, 일부는 세계무역기구(WTO) 협정이나 한·미 FTA 정신 위반 소지가 있다. 특히 IRA 등의 법과 정책은 반중국 조치이면서 포퓰리즘이다.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미국과 정책적으로 함께할 수 있을지, 미국이 원칙과 가치를 위반할 경우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해 고민이 필요하다.  수잔 손튼 전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대행·예일대 법대 선임연구원 최근 ‘미·중이 향후 수년 이내에 화해할 수 있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이는 미·중 경쟁이 격화되고 양국 관계가 악화되는 것이 전 세계 많은 국가에도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일 것이다. 전반적으로 미·중 간 지정학적 경쟁의 구도가 이미 고착화했고, 갈등의 양상이 깊어지고 있다. 미국의 정치적 분위기 역시 민주·공화당 모두 중국에 강경하고, 이번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이 승리한 하원은 강한 대중(對中) 이니셔티브를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다시 한 번 미·중 간 긴장이 고조될 여지가 남아 있다.  최석영 법무법인 광장 고문·전 주제네바 대사  강대국을 중심으로 일방주의와 보호주의, 여러 산업정책이 추진되며 경제안보 위협이 부상하는 상황이다. 특히 (공급망 등) 상호 의존성을 무기화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국가안보 이슈가 확장되고 있고, 미·중 갈등과 코로나19 팬데믹, 기후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글로벌 공급 사슬망이 파괴됐다. 이같은 상황에서 한국은 IPEF에 참여하고, 인태 전략도 발표했다. 예측하긴 이르지만, 핵심은 IPEF가 잠재적 상호의존성을 무기화하는데 대한 집단적 억지력이 될 수 있을지의 문제다. 또 IPEF 참여로 중국이 경제 보복에 나설 경우 대응할 효과적 도구를 마련해야 하고, 경제의존성을 무기화하는 상황에 대비한 ‘다각화 노력’이 필요하다.  제임스 김 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 회장  현재 한국 수출액의 25%는 중국이 차지하고 있다. 기업가의 입장에서 매출의 25%가 한 국가, 혹은 한 대상에 집중되는 것은 그 누구도 원하지 않는 상황이다. 그 대상이 중국이기 때문이어서가 아니라 비즈니스의 입장에서 파트너를 다변화해야 한다. 특히 경제안보 측면에서 한·미는 더 긴밀한 관계를 맺어야 한다. 한국 입장에서 중국은 물론 중요한 시장이지만, 전략적 파트너십의 관점에서 무역활동과 투자 등 한·미 협력이 더욱 강해지고 빈번해져야 한다. IRA의 경우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조심스럽게 예측할 수 있을 것 같다. 특히 한·미 관계는 장기적으로는 더 건강하게 번영할 관계이기 때문에, (IRA의 보조금 조항 등) 어려움은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재민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IRA에 대해선 한·미가 합의할 수 있는 공통의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IRA는 현재 많은 사람들에게 감정적·정서적 이슈로 자리했다. 특히 세계무역기구(WTO) 규범에 따르면 정부가 재정적 이유로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 자체를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 입장에선 팬데믹 등 다양한 이유로 어려운 산업을 보호해야 하고 보조금을 지급할 필요성이 커질 수 있다. 과거 협약들이 이런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유럽연합(EU)나 일본 등은 보조금 관련한 새로운 규정이 필요하단 인식으로 새 아이디어를 제안했는데, 협정의 보조금 조항에 대해선 하루 빨리 조치가 취해져 WTO가 분쟁 해결 기능을 재개하길 희망한다.  ◆중앙일보-CSIS 포럼  2011년부터 중앙일보와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공동 주최하는 국제 포럼. 한국과 미국의 전·현직 대외 정책 입안자들을 비롯한 양국의 대표적인 외교·안보 전문가들이 동북아 정세와 미래 아시아 평화의 해법을 제시하는 자리다. 포럼은 서울과 워싱턴에서 번갈아 열리는데 최근 2년간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해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1962년 설립된 CSIS는 미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국제적인 싱크탱크다.  출처: www.joongang.co.kr/article/25122359#home

2022.12.05